크게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고
중앙처리장치는
처리장치: 산술연산장차와 프로세서레지스트를 포함
컨트롤장치: 명령 레지스터와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
이렇게 두 개로 이루어져있다.
메모리유닛에는 데이터영역과 프로그램(명령어)영역이 구분되지않고 하나의 버스를 타고 cpu로 들어간다
이 구조의 장점은 이 이전에 3+2와 5-4연산을 하려면 3, 더하기, 2를 사용하고 5, 빼기 ,4로 전선을 교체해야했다
폰노이만 구조에서는 명령어와 데이터가 메모리 안에 내장되어있어서 계산이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서 cpu로
전달하여 연산하면된다
연산 순서는 아래처럼 이루어진다
fetch : 메모리로 부터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
decode : 가져온 명령어를 해석하는 것
execute : 명령을 실행하는 것
store : 연산이 끝난 결과를 저장하는 것
"내장 메모리 순차 처리 방식" 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cpu는 한번에 명령어 하나씩 실행한다
하나의 버스로 데이터와 명령어에 접근하기에 동시에 접근을 할수없는 단점이있다.
그래서 메로리유닛을 두개로 나누어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로 나눈것이 하버드 구조이다
'컴퓨터 공학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구조]1.컴퓨터 구조의 개요 (0) | 2022.10.14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