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모리 계층구조
위로 올라갈 수록
- 빈도: 많아짐
- 속도: 빨라짐
- 가격: 비싸짐
- 용량: 작아짐
- 마지막 하드디스크(ssd)빼고는 다 휘발성(전기가 없으면 데이터 사라짐)
가상메모리
- 가상 메모리는 적은 메모리로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시스템
- 메모리가 실제 메모리보다 많아 보이게 하는 기술
-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필요한 페이지들이 가상 메모리의 주소 공간에 할당됨
- 하지만 물리 메모리에 모든 페이지를 올려놓을 수 없음(여러 프로세스가 실행중일때)
- 그래서 실제로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들만 물리 메모리에 저장된다
- 나머지 덜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들은 스왑 영역으로 보내져 디스크에 저장
- 프로그램이 스왑 영역에 있는 페이지를 필요로 하면
- 운영체제가 해당 페이지를 스왑 인하여 물리 메모리로 불러오고, 그 자리에 잘 안쓰는 다른 페이지를 스왑 아웃하여 공간을 확보합니다.
페이지
가상 메모리의 작은 단위로, 가상 메모리와 물리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
4Kb,8kb 등 고정된 크기가 있음,
메모리 영역의 한부분만을 담고 있음
예) 하나의 페이지에는 코드영역, 또다른 페이지에는 힙영역 등등
swap 메모리
실제 메모리가 가득찬 상태에서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할때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여 부족한 메모리를 대체할수 있는 공간
(하드디스크에 있음)
'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쟁 조건(Race Condition) (0) | 2024.10.20 |
---|---|
데드락(deadlock)이란 (0) | 2024.10.15 |
스레드(Thread) (1) | 2024.10.15 |
프로세스 (0) | 2024.10.15 |
[linux] curl 명령어 (0) | 2024.07.24 |